맨위로가기

앙드레 졸리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 졸리베는 1905년 파리에서 태어나 1974년 사망한 프랑스의 작곡가이다. 그는 화가와 피아니스트 부모에게서 예술적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여, 첼로와 회화를 배우고 교사로 일하며 음악가의 길을 걸었다. 폴 르 플렘, 에드가르 바레즈 등에게 사사하며 무조 음악과 음향학에 관심을 가졌고, 올리비에 메시앙 등과 함께 '라 쥬느 프랑스'를 결성하여 신고전주의에 반대하며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초기에는 이교적 주술성을 강조한 작품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서정적인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종전 후에는 이러한 다양한 스타일을 통합한 협주곡, 교향곡 등을 작곡했다. 그는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과 오페라, 실내악, 피아노곡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으며, 국립 음악 협회 설립, 파리 음악원 교수 등을 역임하며 프랑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2. 생애

앙드레 졸리베는 1905년 8월 8일 파리 몽마르트르에서 화가인 아버지 빅토르-에르네스트 졸리베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마들렌 페로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예술에 관심을 보였으며, 음악뿐만 아니라 미술에도 재능을 보였다.

그의 초기 작품은 클로드 드뷔시, 폴 뒤카, 모리스 라벨의 영향을 받았다. 르플렘에게 배우기 전 교사가 되기 위해 훈련받는 동안 여러 개의 피아노곡을 작곡했다. 아널드 쇤베르크와 에드가르 바레즈는 작곡가로서 그의 첫 성숙기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스타일은 무조음악과 모더니즘 사상에 크게 의존했다.

1945년, 졸리베는 "진정한 프랑스 음악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에게 아무것도 빚지지 않는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두 작곡가 모두 작품에서 고대 음악의 주제를 많이 사용했지만, 졸리베와 ''라 젠 프랑스''는 신고전주의 (음악)를 거부하고 덜 기계적이고 진보적인 대신 더 영적인 작곡 스타일을 선호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졸리베는 무조성에서 벗어나 더욱 협화적이고 서정적인 스타일로 변화했다. 희극 오페라 ''돌로레스, 또는 못생긴 여자의 기적''(1942)과 발레 ''기뇰과 판도라''(1943) 등을 작곡하며 단순한 스타일로 작업한 후, 이전의 실험적인 작품과 타협점을 찾았다. 1945년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제1번''은 이러한 두 가지 스타일의 요소를 모두 보여준다.

졸리베는 세계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이집트,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의 텍스트와 음악을 자신의 독특한 프랑스 스타일에 접목시키기도 했다.

2. 1. 초기 (1905년 ~ 1930년대)

앙드레 졸리베는 1905년 8월 8일 파리 몽마르트르에서 화가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예술에 관심을 보였고, 14세에 회화와 첼로 레슨을 받았다. 부모의 권유로 사범학교에 진학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으나, 음악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못했다.

졸리베의 스승 중 한 명은 그가 음악에 재능이 있다고 믿고 작곡을 계속하도록 권유했으며, 폴 르 플렘(Paul Le Flem)에게 그를 소개했다. 르 플렘은 졸리베에게 화성과 대위법을 가르쳤다. 아널드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의 콘서트를 듣고 무조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졸리베는 르 플렘의 추천으로 에드가르 바레즈(Edgard Varèse)의 제자가 되었다. 바레즈는 음향학, 무조 음악, 음향 질량에 대한 지식을 졸리베에게 전수했다.

졸리베는 바레즈로부터 12음 기법, 실험적 음향, 타악기 편애 등을 배웠다. 바레즈의 영향은 졸리베의 음악에 짙게 나타나 있으며, 초현실주의 화가나 시인들을 통해 얻은 예술적 자극도 큰 영향을 미쳤다.[3]

1936년, 졸리베는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en), 장 이브 다니엘-르쉬르(Jean-Yves Daniel-Lesur), 이브 보드리에(Yves Baudrier)와 함께 작곡가 그룹 ''라 쥬느 프랑스(La jeune France)''를 공동 설립했다. 이들은 전년도에 결성한 아방가르드 실내악 협회 ''라 스피랄(La Spirale)''에서 발전했다. ''라 쥬느 프랑스''는 당시 지배적이었던 신고전주의 음악에 대항하여 인간성 회복과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로의 회귀를 목표로 했다.,[3]

1930년대에 졸리베는 "조성으로부터 자신을 해방하는 것"을 목표로, 이교의 주술성을 강조한 『주술적 무도』, 『5개의 의례적 무도』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3]

2. 2. 중기 (1930년대 ~ 1940년대)

1936년, 올리비에 메시앙, 장 이브 다니엘 르쉬르, 이브 보드리에와 함께 작곡가 그룹 '젊은 프랑스'를 결성했다. 이들은 당시 프랑스 음악계에 지배적이었던 신고전주의에 반대하며, 보다 인간적이고 정신적인 음악을 추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조성에 기반한 서정적인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2. 3. 후기 (1940년대 ~ 197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졸리베는 조성 선율을 기반으로 한 서정적인 작품을 통해 인기를 얻었다. 종전 후에는 전쟁 이전의 주술적인 음악과 전쟁 중의 서정성을 고전적인 형식으로 통합한 협주곡, 교향곡 등을 작곡했다.

1945년 코메디 프랑세즈의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1959년까지 재직하며 몰리에르, 장 라신,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폴 클로델의 희곡을 위해 총 14개의 작품을 작곡하는 등 연극 음악 작곡에 힘썼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트럼펫, 피아노, 플루트, 하프, 바순, 타악기, 첼로,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여러 협주곡을 작곡했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연주자에게 고도의 기교를 요구한다. 또한 초기 전자 악기인 옹드 마르트노를 위한 협주곡(1947년)을 작곡하기도 했다.

1959년 엑상프로방스에 '프랑스 인본주의 음악 센터'를 설립했고, 1961년부터 파리 음악원에서 작곡을 가르쳤다. 평의구, 시시도 무츠로 등 일본인 제자를 두었으며, 마쓰다이라 요리노리는 그의 칭찬을 받기도 했다.

1974년 인플루엔자로 69세에 사망했다. 아사히 신문에서 톱 기사로 다룰 정도로 그의 죽음은 큰 주목을 받았다. 마지막 거주지였던 파리 7구 바렌느 거리 59번지에 기념비가 있으며, 몽마르트르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주요 작품

앙드레 졸리베는 오페라, 교향곡,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 피아노곡, 성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초기에는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무조음악과 모더니즘적 사상을 반영한 실험적인 작품을 쓰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보다 협화적이고 서정적인 스타일로 전환하여 프랑스 전통 음악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1945년부터 1959년까지 코메디 프랑세즈의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몰리에르, 라신,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등의 희곡에 사용되는 극음악을 작곡했다. 또한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이집트,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의 음악적 요소를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기도 했다.

3. 1. 오페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졸리베는 무조성에서 벗어나 더욱 협화적이고 서정적인 작곡 스타일로 전환했다. 이 단순한 스타일로 작업하던 기간 동안 그는 희극 오페라 《돌로레스, 혹은 못생긴 여자의 기적》(1942)을 작곡했다.

3. 2. 교향곡


  • 교향곡 1번 (1953)
  • 교향곡 2번 (1959)
  • 교향곡 3번 (1964)

3. 3. 관현악곡

Andante pour cordes프랑스어 (1935)는 현악기를 위해 작곡되었다.[1] 1939년에는 Cinq danses rituelles프랑스어 (5개의 의례적 무곡)을 작곡하였다.[1] 발레 음악인 Guignol et Pandore프랑스어 (기뇰과 판도라)는 1943년에 작곡되었다.[1]

3. 4. 협주곡

앙드레 졸리베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트럼펫, 피아노, 플루트, 하프, 바순, 타악기, 첼로,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여러 협주곡을 작곡했다.[1] 이 작품들은 연주자에게 고도의 기교적 기술을 요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1]

졸리베는 초기 전자 악기인 온드 마르티노를 위한 협주곡을 1947년에 작곡하기도 했다.[1]

제목연도악기 구성
온드 마르티노 협주곡1947년온드 마르티노, 오케스트라
트럼펫과 현악, 피아노를 위한 소협주곡 (트럼펫 협주곡 1번)1948년트럼펫, 현악, 피아노
플루트와 현악 합주를 위한 협주곡 (플루트 협주곡 1번)1949년플루트, 현악 합주
피아노 협주곡1950년피아노, 오케스트라
하프와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952년하프, 실내 오케스트라
바순 협주곡1954년바순, 현악, 하프, 피아노
트럼펫 협주곡 2번1954년트럼펫, 오케스트라
타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958년타악기, 오케스트라
첼로 협주곡 1번1962년첼로, 오케스트라
플루트와 타악기를 위한 협주적 모음곡 (플루트 협주곡 2번)1965년플루트, 타악기
첼로 협주곡 2번1966년첼로,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협주곡1972년바이올린, 오케스트라


3. 5. 실내악


  • 현악 사중주 (1934)
  • 리노스의 노래 (Chant de Linos프랑스어) (플루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하프) (1944)
  • 크리스마스를 위한 목가 (Pastorales de Noël프랑스어) (플루트, 바순, 하프) (1943)

3. 6. 피아노곡

1935년에 작곡된 6개의 소품 《마나》는 졸리베의 초기 작품으로, 무조음악적이고 모더니즘적인 경향을 보인다. 각 소품은 바레즈가 졸리베에게 남긴 6개의 물체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으며, 졸리베는 이 물건들을 주술적인 의미를 지닌 페티시로 여겼다.[5]

1945년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1번》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졸리베의 음악적 변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무조성에서 벗어나 보다 협화적이고 서정적인 스타일로 전환하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며, 이전의 실험적인 요소와 새로운 경향이 공존한다.[6]

1957년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2번》은 졸리베의 후기 작품으로, 보다 원숙하고 개성적인 스타일을 보여준다.

3. 7. 기타

1945년 그는 "진정한 프랑스 음악은 스트라빈스키에게 아무것도 빚지지 않는다"고 선언하는 논문을 발표했지만, 두 작곡가 모두 그들의 작품에서 고대 음악의 주제를 많이 사용했다. 졸리베와 ''라 젠 프랑스''는 신고전주의를 거부하고, 덜 기계적이고 진보적인 대신 더 영적인 작곡 스타일을 선호했다. 후에,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졸리베는 무조성에서 벗어나 더욱 협화적이고 서정적인 작곡 스타일로 전환했다. 몇 년 동안 이보다 단순한 스타일로 작업한 후, 희극 오페라 ''돌로레스, 또는 못생긴 여자의 기적''(1942)과 발레 ''기뇰과 판도라''(1943)를 작곡했고, 이전의 실험적인 작품과 이 스타일 사이의 타협점에 도달했다. 1945년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제1번''은 이러한 두 가지 스타일의 요소를 보여준다.[3]

젊은 시절의 열망인 극장을 위한 작곡을 실현한 졸리베는 1945년 코메디 프랑세즈의 음악 감독이 되었고, 1959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그곳에서 그는 몰리에르, 라신,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클로델의 희곡을 위해 작곡했으며, 총 14개의 작품을 작곡했다. 그는 또한 콘서트홀을 위해 작곡을 계속했으며, 종종 세계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이집트,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의 텍스트와 음악을 그의 독특한 프랑스 스타일로 각색했다.[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졸리베는 트럼펫, 피아노, 플루트, 하프, 바순, 타악기, 첼로, 바이올린을 포함한 다양한 악기를 위한 여러 개의 협주곡을 작곡했다. 이 작품들은 높이 평가받고 있지만, 모두 연주자들에게 기교적인 기술을 요구한다. 졸리베는 또한 초기 전자 악기인 온드 마르티노를 위해 작곡한 몇 안 되는 작곡가 중 한 명이며, 악기 발명 19년 후인 1947년에 그를 위한 협주곡을 완성했다. 졸리베는 1959년 엑상프로방스에 ''센터 프랑세 다위마니즘 미지칼''을 설립했고, 1961년에는 파리 음악원에서 작곡을 가르치러 갔다.[3]

졸리베의 음악 녹음은 스트라디바리우스, 에라토, 낙소스, 비스 레이블에 있다.[3]

3. 8. 성악곡

제목연도비고
병사의 세 개의 곡 (Les trois complaintes du soldat프랑스어)1940성악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1]
어린이를 위한 시 (Poèmes pour l'enfant프랑스어)1937성악과 11개의 악기를 위한 작품[1]
다시 꾸는 꿈 (Songe à nouveau rêvé프랑스어)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
전례 모음곡 (Suite liturgique프랑스어)1942성악, 오보에, 첼로, 하프를 위한 작품[1]
결혼 축가 (Épithalame프랑스어)195312성부 합창을 위한 작품[1]
오라토리오 《의 진실》(프랑스어: La vérité de Jeanne)1956[1]
미사곡 《네 아내》(라틴어: Uxor tua)1962[1]
평화의 날을 위한 미사곡(Messe pour le jour de la paix프랑스어)1940[1]
병사의 세 가지 한탄1940[1]
평화의 날을 위한 미사1940[1]
칸타타 「잔 다르크의 마지막 유혹」1941[1]


4. 평가 및 영향

졸리베는 20세기 프랑스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곡가이다. 초기에는 에드가르 바레즈의 영향으로 무조음악에 기반한 실험적인 음악을 추구했다. 1933년 북아프리카 여행을 통해 이국적·이교적 음악을 접하면서, 그의 음악은 주술적이고 원시적인 요소를 담게 되었다. 1934년, 올리비에 메시앙과 함께 신고전주의에 대항하여 엑토르 베를리오즈로의 회귀를 목표로 하는 '젊은 프랑스'(La Jeune France)를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조성 선율을 기반으로 한 서정적인 작품을 썼으며, 전쟁 전의 주술적인 음악과 전쟁 중의 서정성을 고전적인 형식으로 통합한 협주곡과 교향곡을 작곡했다.

그는 트럼펫, 피아노, 플루트, 하프, 바순, 타악기, 첼로,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하여 해당 악기의 레퍼토리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초기 전자 악기인 온드 마르티노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파리 음악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평의구, 시시도 무츠로가 그의 제자이다. 마쓰다이라 요리노리는 그의 칭찬을 받고 세상에 나왔다.

4. 1. 비판

졸리베는 작풍을 여러 번 바꾸었기 때문에 그를 '음악의 지킬 앤 하이드'라고 비난하는 음악가도 있었다. 피에르 불레즈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L'avant garde musicale et ses sociétés à Paris de 1871 a 1939 Mardaga 2007
[2] 서적 Avec...Andre Jolivet Flammarion 1978
[3] 간행물 Jolivet on Jolivet. An Interview with the Composer's Daughter 2006
[4] 웹사이트 Décès de l’artiste Merri Jolivet https://www.connaiss[...]
[5] 웹사이트 André Jolivet: Six études (1931) 2022-07-04
[6] 웹사이트 Trois temps : pour piano / André Jolivet. https://catalog.pr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2021-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